스트레스 DSR 확대 연기...은행·제2금융권 대출규제 9월로 미뤄

금융위원회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조치의 시행 시기를 당초 7월 1일에서 9월 1일로 2개월 연기한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는 현재의 경제 상황과 금융 소비자들의 부담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DSR은 대출자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다. 현재 은행권 대출에는 40%의 DSR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스트레스 DSR은 이에 더해 미래의 금리 상승 가능성까지 고려해 대출 한도를 더욱 엄격하게 관리하는 제도로, 올해 2월에 도입되었다.

금융당국의 당초 계획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 우선 스트레스 DSR을 적용하는 1단계를 거쳐, 7월부터는 은행의 신용대출과 제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까지 관리 대상을 확대하는 2단계를 시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번 결정으로 2단계 시행이 9월로 미뤄지게 되었다.

이번 연기 결정의 주요 배경으로는 제2금융권을 이용하는 취약 차주들의 자금난 가중 우려가 꼽힌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예정대로 7월에 시행될 경우 제2금융권 이용자의 15% 이상이 추가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이미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에게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스트레스 DSR은 현재의 금리뿐만 아니라 향후 금리 상승 가능성까지 고려해 대출 한도를 산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금리가 3%라면 스트레스 DSR은 6%의 금리로 상환 능력을 평가한다. 이는 미래의 금리 상승에 따른 리스크를 미리 관리하려는 조치지만, 동시에 현재 대출이 필요한 사람들의 대출 가능 금액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금융위원회의 이번 결정은 가계부채 관리의 필요성과 금융 소비자 보호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가계부채의 급격한 증가는 경제의 큰 리스크 요인이지만, 동시에 너무 엄격한 규제는 실제 자금이 필요한 사람들의 금융 접근성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연기로 인해 금융 소비자들, 특히 제2금융권 이용자들은 추가로 2개월간의 여유를 갖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금융당국은 시장 상황을 더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보완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융 소비자들도 이 기간을 활용해 자신의 재무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한 대출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 연기가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2개월 후에는 결국 같은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따라서 금융당국은 이 2개월 동안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금융 소비자들은 자신의 소득과 기존 대출 상황을 고려해 신중하게 대출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금융기관들도 이번 연기 조치의 취지를 고려해, 건전한 대출 관행을 유지하면서도 실제 자금이 필요한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