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해도 유급 없다" 정부 제안에 의대생들 "근본 해결 아냐" 반발

"의대 정원 증원 철회 없인 복귀 없다"... 휴학 의대생들 강경 입장 고수
탄력적 학사 운영에 "의학 교육 현실 모른다"... 보충 수업 실효성 의문 제기
의대 4학년 95% "의사 국시 거부"... 장기화 조짐에 의료계 우려 깊어져

정부가 최근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학사 탄력운영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지만, 의대생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교육부는 7월 10일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의대생들의 유급 처리 기한을 늦추고, 탄력적 학사 운영으로 수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교과목에 대해 추후 보충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의대생들이 복귀만 하면 유급 걱정 없이 원활하게 수업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동맹휴학에 대한 승인 불가 방침은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의대생들은 이러한 정부의 방침에도 불구하고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들은 정부가 의대생들이 학교를 떠난 근본적인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경남권 의대를 휴학한 A씨는 "정부가 원하는 게 의대생의 복귀라면 학생들이 교육 현장을 떠난 이유를 이해한 후 학생들과 의견을 공유해 해결책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복귀한 학생들에게 예년처럼 진급할 수 있는 환경을 약속하며 복귀를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이 행동에 나선 이유와 전혀 무관하며 그저 무의미하다"고 덧붙였다.

충청권 의대 휴학생 B씨도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의대생이 휴학하게 된 이유에는 변화가 없지 않은가. 이런 방안으로 갑자기 의대생이 돌아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충청권 의대 졸업생 C씨는 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절대 유급시키지 않겠다는 배짱이 어디서 나오는지 모르겠다. 어떤 방안을 가져와도 응할 생각 없다"고 밝혔다.

의대생들이 이처럼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이유는 그들이 휴학을 결심했던 근본적인 원인인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대해 아무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정부의 새로운 방안이 의대 교육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A씨는 의대 교육의 특성을 강조하며 정부 방안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의대 교육의 많은 부분은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실제 환자 사례에 대한 토론으로 이뤄진다. 교과서를 배우는 것은 어떻게든 된다더라도 토론을 두 배 빠르게 하라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실습 과정에 대해 "본과 3·4학년 실습은 실제 환자를 보며 배우는 만큼 현실의 시간을 따를 수밖에 없다. 환자 임상 경과나 시술·수술을 2배속으로 돌릴 순 없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C씨도 정부 방안의 현실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본과생은 원래 방학이 거의 없다시피 하는데 도대체 언제 보충 수업을 실시하겠다는 건가"라며 "탁상공론에 불과하다. 정부가 이런 정책을 내세운 것은 의학의 난이도와 양을 우습게 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일부 의대생들은 정부가 휴학을 승인해주길 요청하고 있다. 서울권 의대를 휴학한 E씨는 "의대와 정부가 휴학을 허용하지 않아 등록금을 계속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불안감만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충청권 의대 휴학생 D씨는 "차라리 1년 휴학을 허용해 다 같이 1년을 쉰 다음에 학사 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것도 방안이라고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졸업 예정인 의대생 대부분이 2025년도 의사국가시험에 응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사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한 2,903명의 95.52%인 2,773명이 의사 국시에 응시하기 위한 개인정보 공개 동의서 제출을 거부했다.


의대협 손정호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이를 두고 "현 의료사태에 대한 학생들의 강경한 의지를 나타낸다"며 "앞으로 일어날 사태는 정부의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