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운영 40개 대학 중 35곳, 학생 휴학계 반려…"집단휴학 불허"

의대 총장협 "병역·임신 등 불가피한 사유 외 휴학 불허 방침"
연세의대 휴학생 절반 복귀…복귀 마감 앞둔 타 대학 선택 주목
정부·대학 압박 강화…의대생 휴학 사태 분수령 될 듯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하며 의대생들이 집단 휴학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35개 대학이 학생들의 휴학계를 공식 반려했다.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중대한 분수령을 맞고 있다.



22일 전국 의과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 40개 대학 가운데 35개 대학이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공식적으로 반려하는 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나머지 5개 대학 역시 학생들과의 상담 및 학칙에 따른 추가적인 절차를 거쳐 다음 주 중 휴학계를 반려하거나 미승인 조치할 계획이다. 협의회는 "병역, 장기요양, 임신·출산·육아 등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한 모든 휴학 신청을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의총협은 지난 19일 긴급 온라인 회의를 열어 "대규모 의대생 집단 휴학은 학사운영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의료시스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휴학계 불허를 결정한 바 있다. 협의회는 이와 함께 "유급이나 제적 등 학칙상 처리 기준을 의과대학 학생들에게도 엄격하게 적용하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

이러한 대학과 정부의 압박에 따라 일부 대학에서 의대생들이 복귀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1일 복귀 신청 마감일을 맞은 연세대 의과대학의 경우 지난해 휴학생 중 절반가량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의과대학들도 복귀 시한이 다음 주로 집중돼 있어 학생들의 결정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와 대학의 압박과 학생들의 복귀 여부를 둘러싼 긴장감은 다음 주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