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3잔을 마시는 소량 음주라도 1주일 동안 5일 이상을 마시면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위암이 발생할 위험이 46%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위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술을 마신 다음 날은 금주해야만 한다.
서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 연구팀(이휘원 박사, 황단 박사과정)은 2004~2013년 도시 기반 역학연구에 참여한 40~69세의 건강한 중장년 12만 8,218명을 대상으로 8.6년에 걸쳐 소량 음주가 위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한 번에 40g 미만의 알코올 섭취를 소량 음주로 규정하고 있다. 알코올 40g은 소주와 맥주를 마실 때 각각의 잔으로 적게는 2~3잔, 많게는 4잔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다.
연구 결과를 보면, 추적 기간에 총 847명(남 462명, 여 385명)의 위암 환자가 발생했다. 이를 음주 그룹과 비음주 그룹으로 나눠 보면 남성에서 음주 그룹의 위암 발생 위험이 비음주 그룹보다 31% 높아지는 유의성이 관찰됐다. 반면 여성은 이런 연관성이 없었다.
남성은 주당 음주 빈도가 1회 증가할수록, 한 번에 섭취하는 음주량이 10g 증가할수록 위암 발생 위험이 이에 비례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 발병 위험이 낮은 것으로 여겨지는 소량의 음주도 지속적일 경우 위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이는 요인이었다.
연구팀은 하루 알코올 섭취량이 40g 미만의 소량일지라도 1주일에 5회 이상 음주를 지속하면 위암 발생 위험이 46%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했다.
강대희 교수는 "기존 연구가 위암 발생과 폭음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연구에서는 대규모 역학 연구를 통해 소량이라도 자주 술을 마시는 사람들 또한 위암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새롭게 밝힌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알코올 노출이 위 점막 세포의 유전자(DNA)를 영구적으로 손상하고, 알코올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손상된 DNA의 복구 과정을 억제하면서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 과도한 알코올 섭취가 위장관 내 활성산소의 생성을 촉진하고, 나이트로사민과 같은 발암물질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점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중·장년층 남성에서 잘못된 음주 습관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이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만약 술을 마신다면 음주량이 적다는데 안심하지 말고, 소량의 음주를 하더라도 반드시 다음날은 금주하는 등의 방식으로 체내에서 알코올이 분해될 시간을 충분히 주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지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