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코로나 치료제 개발 기대에 35만 원까지 치솟았다 16만 원까지 폭락
- 코로나 사업 철수 소식에 투자자들 더 떨어질까 ‘전전긍긍’
셀트리온이 결국 코로나 사업에서 전면 철수한다. 셀트리온은 진단키트 기업인 휴마시스와 체결한 공급 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 국산 1호 코로나 치료제인 ‘렉키로나주’는 지난 2월부터 공급을 중단해 이번 계약 해지로 사실상 코로나 사업에서 철수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주식시장에서 셀트리온을 선택했다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투자자들은 이번 결정으로 더 큰 하락이 찾아올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40대 직장인 A씨 역시 그들 중 하나이다. A씨는 “셀트리온 뉴스 제목만 봐도 가슴이 조마조마하다”며 “뉴스가 나올 때마다 악재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A씨는 2020년 코로나 치료제 개발 뉴스를 보고 ‘35층’에 수천만원을 투자했으나 지금 주가는 반토막도 되지 않는다.
지난 29일 셀트리온은 공시를 통해 휴마시스와 코로나19 항원진단 홈키트 ‘디아트러스트’의 공급 계약을 해지한다고 밝혔다. 휴마시스는 셀트리온과 체결한 총 1,366억 원 주문분 중 33%인 447억 원어치 제품 공급을 완료한 상태였다. 나머지 920억 원어치가 남아있었지만 두 회사의 계약 기간이 작년 말일까지 였기에 사실상 나머지 공급계약은 무효처리 될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은 미국에 진단키트를 유통하는 셀트리온USA에 대한 공급계약도 기존 4,595억 원에서 2,472억 원으로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셀트리온 측은 “휴마시스의 납기지연에 따라 시장에 진단키트를 적기에 공급하는 것에 실패했다. 이에 대한 셀트리온USA의 요청에 따라 공급 계약 규모를 변경한다”고 설명했다.
휴마시스는 이런 셀트리온 발표에 대해 법적 공방을 예고했다. 휴마시스 측은 “셀트리온의 일방적인 계약 해지 통보에 따라 법적 대응을 위한 전문가와 법률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손해배상 청구 등 적극적인 대응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셀트리온은 국산 1호 코로나 치료제로 각광받았던 ‘렉키로나주’도 사실상 철수한 상태이다. 렉키로나는 지난 2020년 3월 서정진 명예회장이 나서 “코로나19 팬데믹을 종식시키기 위해 모든 것을 걸고 개발할 것”을 선언했던 프로젝트 결과물이다. 당시 개발을 완료하면 공중보건 위기 해결을 위해 치료제를 원가에 공급하겠다는 약속도 했었다.
하지만 렉키로나는 출시된 이후 별다른 존재감 없이 잊혀졌다. 급기야 지난 2월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렉키로나주의 신규 공급을 중단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렉키로나가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기에는 별 효과가 없다는 판단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셀트리온이 치료제에 이어 진단키트 등 코로나 관련 사업에서 큰 재미를 보지 못해 결국 철수하는 모양새”라며 “당분간은 셀트리온의 기존 주력 사업이었던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마케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망했다.
코로나 사업 부진 여파는 셀트리온뿐만 아니라 곳곳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일동제약도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함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인 ‘조코바’를 개발했다. 조코바는 지난 11월 일본에서 긴급사용승인을 받고, 국내에서도 긴급사용승인이 기대됐다. 이에 일동제약 주가가 단기간에 폭등하기도 했다.
하지만 질병청은 조코바의 도입 필요성에 의문을 품고 국내 도입하지 않으면서 주가가 며칠 사이에 30%가 폭락하기도 했다. 조코바가 국내에서 사용승인을 얻으려면 렉키로나주처럼 임상 3상 시험 결과를 제출해야 하는 ‘조건부 허가’를 거쳐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지금보다 더 많은 임상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국산 첫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SK바이오사이언스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 초기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신 등을 위탁생산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자체 개발한 코로나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선보였지만 코로나 백신 수요가 줄어들면서 이를 접종한 이는 몇 천명 수준에 멈춰있다.이에 결국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 백신 생산을 중단하고 기존 주력 사업이었던 독감 백신 생산을 다시 진행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상황이 안정되면서 백신, 치료제 개발에 투자했던 프로젝트들이 기업들에겐 계륵과 같은 존재가 된 것”이라며 “개발과 투자를 독려했던 정부 차원에서 손실을 보장해주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유정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