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의대 이어 서울 소재 주요 의대, "복귀 안 하면 제적·유급 처리" 경고
의대생 "협박 중단하고 교육 대책 마련하라" 반발
의료공백 우려 속 "정부, 학생과 실질적 소통 나서야" 지적 커져
정부가 최근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동결을 선언했지만, 여전히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의대생들이 정부에 실질적 교육 정상화 대책을 우선적으로 마련하라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연세의대 최재영 학장이 최근 지도교수들에게 "오는 24일 이후 학생들의 추가 복귀는 없다"고 통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학생들의 반발은 더욱 커졌다. 연세의대는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학생들에 대해 미등록 후 휴학하면 '제적', 등록 후 휴학할 경우에도 '유급'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를 두고 "잘못한 대통령에게는 침묵하면서 학생들에게는 협박을 일삼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의대 학장들은 의료계 부조리를 방치하고 조장해 온 책임자들인데, 이제 와서 학생들에게 돌아오라고만 종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세의대뿐 아니라 서울 소재 주요 의과대학들도 학생들의 복귀를 압박하며 제적과 유급 가능성을 공식화하고 있다. 서울의대 김정은 학장은 교수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오는 27일까지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학칙에 따라 제적 또는 유급 처리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올해는 집단 휴학이나 학사일정 유연화 등 일체의 예외는 없다"고 못 박았다.
고려의대 편성범 학장 역시 학생과 학부모에게 전달한 서신에서 "지난해의 혼란을 올해도 반복할 수는 없다"며 "정해진 기한을 넘기면 학칙대로 처리할 수밖에 없고, 학생들에게 심각한 불이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대학과 정부의 압박에도 의대생들의 태도는 요지부동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지난 7일 성명을 내고 "정부와 대학은 미복귀시 5058명을 선발하겠다며 협박하고 있다"며 "진정으로 학생들을 생각한다면 협박부터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특히 정부가 검토 중인 의대 5.5년제 방안에 대해서도 "2024학번과 2025학번이 결국 동시에 임상수업과 실습을 해야 하는데, 학교들이 그럴 준비가 돼 있느냐"고 지적했다. 박 비대위원장 또한 "7500명을 동시에 교육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후배들에게 최악의 교육 환경을 물려줄 수는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한 지역 의과대학 교수는 "수차례 학생들과 대화하고 설득에 나섰지만, 정부에 대한 학생들의 불신이 너무 깊어 복귀를 설득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난감한 입장을 전했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학생들이 계속 복귀를 거부할 경우 정부와 대학이 실제로 제적이나 유급 조치를 단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이 같은 교착상태가 장기화되면 결국 전공의 부족과 신규 의사 배출 지연으로 의료공백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의료계와 교육 전문가들은 "정부가 단순히 정원을 동결하는 수준에서 끝낼 것이 아니라, 의대생들의 교육 정상화 요구를 구체적으로 반영한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이들은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소통 없이는 갈등이 장기화될 것"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훈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