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중도탈락’ 10명 중 7명은 지방의대생... 수도권 가려고 포기

- ‘의대 중도 탈락’ 74%가 지방의대 출신
- 졸업 후 서울서 전공의 이수 어려워... 지방 대학병원은 인턴 충원에서도 고전
- 지방 의대 “의료의 질 낮아지고 의료사고 발생 많아질 것” 우려

최근 3년간 전국의 의과대 중도탈락 학생의 10명 중 7명은 지방 의대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최상위권이 진학하는 의대에서조차 서울과 수도권으로 쏠리고 지방은 기피하는 양극화 현상이 선명해지고 있는 것으로, 열악한 지역 의료 인프라에 수도권 병원 취업을 위해 반수나 중도포기 후 아예 재수를 선택하는 의대생들이 많아진 것이다. 지방 의대들은 “지방 의료의 현실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 출처 : YTN

6일 의료계와 대입입시학원계에 따르면 2020년~2022년 3년동안 예과와 본과를 포함해 의대 중도 탈락 학생은 561명에 달했다. 전국 의대 중도 탈락 학생 수가 정부의 대학알리미 공시자료를 통해 공시된 이후 2020년 185명, 2021년 173명, 2022년 203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의학전문대학원인 차의과학대와 2022년부터 학부 신입생을 선발하기 시작해 관련 통계가 부족한 건국대 글로벌 캠퍼스를 제외한 전국 37개 의대를 분석한 통계이다. ‘중도 탈락’이란 대학 입학 이후 졸업을 하지 못한 상태로 자퇴, 미등록, 미복학, 유급 등을 하는 경우를 통칭한다. 의대생의 경우 자퇴로 인한 중도 탈락이 80~90%에 이른다.

최근 3년간 의대 중도 탈락 학생의 대다수는 지방 의대생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중도 탈락 학생 중 74.2%(416명)가 서울과 경기, 인천을 제외한 지방 의대 출신이었다. 지방 의대에서 수도권 의대로의 진학을 위해 중도 포기하는 것이다.

A씨(20)는 지난해 전라도 내에 위치한 의대를 다니다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다시 본 뒤 올해 서울권 의대에 진학했다. A씨는 “나중에 개원까지 생각하면 학교 간판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라며 “이전에 다니던 의대도 어렵게 들어갔지만 조금 더 준비하면 대학 이름이 바뀌는데 1년 정도는 더 투자할만 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지방 의대의 한 해 정원 대비 중도 탈락 학생 수와 비율은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높았다. 분석 대상 37개 의대 중 지방 의대의 한 해 정원은 2038명으로, 지난해에만 149명이 중도 탈락했다. 서울(40명)과 경기·인천(14명)의 중도 탈락 의대생을 합친 수보다 3배 가까이 많았다.

지방 의대를 중도 탈락한 학생들 대다수는 서울 등 수도권 의대 진학을 목표로 대입에 재도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방 B의대 관계자는 “우리 학교도 지난해 신입생 4명 정도가 빠져나갔다”며 “의대는 합격선이 촘촘해 조금만 더 준비하면 서울권 의대로 진학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가 자격증이 주어지는 직업이라 ‘대학 간판’이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졌던 의대에서도 서울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데는 취업이 영향을 미쳤다. 지방 의대에서도 서울 소재 병원에서 전공의 과정을 밟을 순 있지만 최상위권 성적이 아니라면 서울로 올라오기 어렵다. 서울에서 고2 자녀를 키우는 한 학부모는 “의사가 된 후 자녀 교육과 삶의 질을 위해 인프라가 좋은 수도권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며 “내 아이가 아쉽게도 지방 의대에 진학한다면 반수를 권하겠다”고 했다.

향후 개업 등을 염두에 두고 지방 의대를 그만둔다는 분석도 나온다. 소위 ‘빅5’로 불리는 서울 가톨릭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와 울산대 의대는 3년간 중도 탈락 학생이 1∼7명에 불과했다.

중도 탈락 학생이 많은 지방 의대는 향후 전공의 충원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 B의대 관계자는 “(자퇴생이 많아서) 올해 본과 2학년 학생이 채 30명이 안 된다”며 “이 학생들이 전공의 과정에 진입하는 2026년에는 대학병원 인턴을 채우는 것도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통상 전공의 과정에 진입하는 학생들의 절반 정도가 해당 학교의 대학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밟는다. 2026년에는 C의대 대학병원에서 인턴을 하는 인원이 15명도 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올해 상반기 C의대의 대학병원은 인턴을 20명 모집했다.

지방 의대와 서울 등 수도권 의대의 양극화로 앞으로 지방 의료 현실이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지방 D의대 관계자는 “충분한 수의 인턴이나 레지던트 없이 교수를 포함한 기존 인력이 밤낮없이 진료를 보다 보면 진료의 질이 떨어지고 사고가 날 수밖에 없다”며 “결국 지역 의료 인프라는 악화하고 학생들이 수도권으로 이탈하는 악순환이 계속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