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서 목숨걸고 싸웠는데 월 2만 원?” 참전수당, 지자체별로 달라... 최고 22만 원
- 전국 광역지자체 평균 9만 2000원
- 연령별, 참전유형별로 차등 지급하기도... 보훈부 장관 “헌신 가치, 달리 평가돼선 안 돼”
최근 80대 참전유공자가 생활비가 부족해 식료품 점에서 8만 원어치 음식을 훔치다가 체포됐다는 소식이 알려진 가운데 참전유공자에게 지급되는 참전수당이 광역지방자치단체별로 금액 차이가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가보훈부 자료에 따르면 17개 광역지자체 단체 중 제주가 6·25전쟁 참전유공자들에게 가장 많은 수당금액인 월 22만 원을 지급하고 있어 가장 적게 지급하고 있는 자치단체(전북·2만 원)에 11배에 달한다.
제주 다음으로는 세종(15만 원), 울산(14만 원), 경남(12만 원)순으로 참전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전북 위를 전남, 충남(3만 원) 경기(3만 3000원) 등도 참전 수당이 낮게 지급됐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의 평균 참전수당 지급액은 월 9만 2000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2022년 7월과 비교해 참전수당이 최근 인상된 곳은 경북(+5만 원), 강원(+3만 원), 대전(+3만 원), 경기(+1만 1000원) 충북(+1만 원) 등 5곳이었다.
다만 참전용사를 구분해 차등 지급하는 지자체들도 있었다. 광주·울산·경북·경남의 경우 80세를 기준으로 참전 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80세 미만의 경우 50~78.6%만 지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보훈부는 사실상 평균연령 91세인 6·25 참전유공자와 평균연령 76세인 베트남전 참전유공자를 구분해 차등지급하고 있는 행태라고 지적했다.
보훈부는 평균보다 참전수당 지급액이 과도하게 낮은 광역단체는 평균 수준으로 인상핳고, 참전유형별·연령별로 차등해 지급하는 지자체는 가급적 차등 지급을 폐지할 것을 권고했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은 “나라를 위해 헌신한 가치가 지역별로 다르게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목숨을 걸고 싸운 영웅들이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7일 생활고를 겪던 6·25전쟁 참전유공자 80대 후반 A씨는 지난 4, 5월 부산 금정구 한 마트에서 7차례에 걸쳐 참기름, 젓갈, 참치통조림 등 8만 원어치 식료품을 훔친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
A씨는 1953년 전쟁 마지막 해에 참전했다가 제대한 뒤 30여년간 선원 생활 등을 하면서 생계를 꾸려왔다. 이후 자녀들은 독립했고, 배우자를 먼저 떠나보낸 뒤 혼자 노년의 삶을 살면서 6·25전쟁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39만 원 등 정부와 부산시가 지원하는 60만 원으로 생활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당장 쓸 수 있는 돈이 부족해서 물건을 훔쳤다”면서 “죄송하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A씨의 사정을 감안해 정식 재판 대신 즉결심판에 넘기기로 했다.
A씨의 사연이 알려지자 곳곳에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기도 했다. 지난 23일 부산진경찰서에는 “1950년 6월 25일 한국인이라면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한국전쟁의 영웅이라는 사실을 접하고는 가슴이 미어지는 것 같았다”면서 “천수를 누리며 좋은 것만 보시고, 드셔야 할 분들이 우리 사회의 가장 구석진 그늘에서 외롭게 살고 계신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았다”는 내용의 편지가 도착했다.
이어 “이분들의 피와 땀, 젊음 위에 세워진 땅에서 살고 있는 후손들이 나설 때”라면서 “따뜻한 식사 한 끼 하실 수 있는 반찬과 그분의 생활 반경 안에서 편하게 쓰실 수 있도록 소정의 금액을 넣은 생활비 카드를 전달해 드려 본다”라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후원 희망 의사를 밝힌 시민들이 수십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원희망자들은 경찰에 식료품을 보내거나 게좌번호를 문의했다. 경찰은 돕겠다는 이들의 명단을 부산보훈청으로 넘겼다. 부산보훈청도 관할 행정복지센터 직원과 함께 A씨의 집을 방문한 뒤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경찰은 사비를 들여 롤케이크를 구매해 관내 참전용사 15명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우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