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경북대 등 주요 의대도 전원 복귀…전국적 '등록 복귀' 흐름 확산

충북대‧경북대‧부산대‧중앙대 의대생 전원 복귀 결정…복학 절차 돌입
빅6 의대 포함해 전국 10곳 이상 전원 복귀…집단 휴학 사실상 무산
의대협 "협박과 압박 굴복 않을 것"…정부, 실질적 수업 참여 촉구

의대생들의 복귀 등록 마감일인 31일을 앞두고 충북대, 경북대, 부산대, 중앙대 등 주요 국립·사립 의대 학생들도 전원 복귀를 결정했다. 이로써 서울대, 연세대 등 이른바 빅6 의대를 포함해 전원 복귀를 확정한 대학이 10곳을 넘어섰다.



의료계에 따르면 31일 충북대 의대는 본과생 176명 전원이 복귀 마감 시한인 전날 자정까지 복학 신청을 완료했다.


충북대는 의대 증원 규모가 가장 컸던 대학 중 하나로, 그간 학내외의 반발이 특히 심했던 곳이어서 전원 복귀 결정의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학교 측은 내달 2일까지 복학 학생들의 수강 신청을 받고 즉시 수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경북대 의대 역시 30일 모든 학생들이 복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경북대 의대 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내부 논의를 통해 전원 복귀를 최종 결정하고 이를 학교에 전달했다. 앞서 경북대는 미등록 학생들에게 제적 예정 안내문을 보내는 등 압박을 가했으나, 학생들의 전원 복귀로 극적인 해결책을 찾았다.

부산대 의대에서도 지난 30일 의대생 600여명이 전원 복귀 결정을 내렸다. 부산대는 미등록 학생들에게 제적 예정 안내문을 발송한 이후 학생회 차원의 논의를 통해 전원 복귀 입장을 정리했고, 31일까지 복학 및 수강 신청 등 관련 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중앙대 의대생들 또한 지난 주말 긴급 회의를 통해 전원 등록 및 복학 결정을 내리고 31일 복귀 신청 절차를 마친 상태다.

이보다 앞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SKY 의대와 울산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차의과대, 충남대 등 8개 대학도 학생들이 전원 복귀를 결정하며, 의대생들의 집단 미등록 투쟁은 전국적으로 무산되는 분위기다.

그러나 여전히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나 휴학 여부를 두고 논란과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학생들에 대한 협박과 압박이 계속되고 있지만, 의대협은 포기하지 않고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며 정부와 대학의 압박에 맞설 것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의대생들의 복귀가 단순히 등록 절차 완료가 아니라 실제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원 복귀의 기준은 단순 등록이 아니라 실질적인 수업 참여가 될 것"이라며 "대부분 대학에서 등록 쪽으로 흐름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등록하지 않은 곳도 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등록 마감일을 연장하거나 등록금 납부 일정을 늦춘 대학들도 있어 실제 복귀율 집계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복귀 여부와 내년도 의대 정원 확정 등 정부의 최종 판단은 다음 주 초쯤 내려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