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공포로 몰아넣었던 에볼라 우간다에서 재유행 공포
- 한국 유입가능성 낮지만 혹시모를 사태에 대비한 방역체계 갖춰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안정기에 들어서고 있는 가운데 아프리카에서 또 다른 감염병 경고등이 켜졌다. 치명률이 무려 50%에 육박하는 에볼라 바이러스이다. 최근 한 달 사이에 벌서 30여 명이 사망해 미국 등 다른 대륙의 국가들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가 유입된 경험이 있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에볼라 바이러스가 유입된 적은 없고, 가능성도 낮지만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 방역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의견도 의료계에서 나오고 있다.
10일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학술지 네이처 등에 따르면, 지난 달 우간다에서 에볼라 발병이 확인 된 이후 우간다에서만 최소 64명이 감염됐고, 이 중 30여 명은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 달 사이에 우간다 내의 5개 지역에서 에볼라가 확산된 상황과 관련하여 과학자들은 전파속도가 심상치 않다고 일제히 경고하고 있다. 국제 분자진단 평가·공급 기구 ‘FIND’의 다니엘 바우슈 국제 보건안보책임자는 “감염자들은 매우 가파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확실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에볼라가 처음 발견된 것은 1976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강 인근이다. 이후 수십년간 발병 사례가 보고 되지 않다가 2014년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빠른 속도로 번졌고, 미국에도 유입되어 비상이 걸렸었다. 이후 WHO가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종식되었다고 선언했지만, 2019년 국제공중보건위기 상황이 선포되는 등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
감염은 증상이 있는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과의 직접 접촉 또는 오염된 환경과의 간접 접촉, 감염된 영장류(원숭이, 침팬지 등)와의 접촉을 통해 이뤄진다. 직접접촉이 전파의 핵심 경로인 만큼 전파력은 코로나19 보다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에 우간다에서 감염사례가 빠르게 증가한 에볼라는 지금까지 발견된 5종의 바이러스 중 '수단형'이다. 평균 치사율은 50%로 자이르형 등 다른 종류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아직 백신이 없다는 점이다. 수단형 에볼라 관련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과거 에볼라 유입 경험이 있는 미국에선 비상이 걸렸다. 미국 보건당국은 이번주부터 21일 내 우간다 방문 이력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입국 검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특히 우간다에서 미국으로 유입되는 방문자는 하루 평균 14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이 뉴욕과 시카고, 애틀란타, 워싱턴 등을 통해 입국한다.
한국에는 지금까지 에볼라 바이러스 유입 사례가 없다. 호흡기를 통해서는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추후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도 낮다는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하지만 정부는 아프리카에서 에볼라 경고등이 뜰 때마다 사전 대비 태세를 마련하기도 했다. 치명률이 상당해 혹시라도 유입될 경우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WHO가 에볼라 관련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을 선포한 2019년 에볼라의 국내 유입 상황을 가정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